분류 전체보기 1156

HD현대인프라코어 디벨론, 아프리카 핵심시장 에티오피아 급성장

▶ 금광용 장비 수요 급증으로 1,300대 판매… 전년 대비 470% 성장 ▶ 신흥시장 공략 전략 성과… 아프리카 新성장축 본격 가동 ▶ 가나 지사 설립 등 현지 밀착형 영업·서비스 기반 확대 HD현대인프라코어의 건설기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이 올해 에티오피아 시장에서 전년 대비 470% 증가한 약 1,300대의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고 6일(목) 밝혔다. 현지 금광 개발 프로젝트 확대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와 함께, 그동안 꾸준히 추진해온 아프리카 신흥시장 공략 전략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진 것이다. 이번 실적을 이끈 주력 모델은 디벨론 36톤급 굴착기(DX360)다. 이 모델은 HD현대인프라코어가 에티오피아에서 판매한 장비의 90%를 차지하며, 올해에만 1,100대 이상 판매됐다. 에티오피아는..

News 2025.11.06

HD현대인프라코어, AWS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 참가

- 건설기계 디지털 혁신 사례로 ‘마이 디벨론(MY DEVELON)’ 소개 - IoT·AI·클라우드 기술로 예측 정비, 원격 제어, 안전 강화 기능 구현 HD현대인프라코어가 지난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WS(아마존웹서비스) ‘AI x 인더스트리 위크(Industry Week) 2025’에 참가해, IoT·AI·클라우드 기술을 결합한 건설기계 디지털 혁신 사례로 ‘마이 디벨론(MY DEVELON)’을 소개했다. 마이 디벨론은 첨단 기술에 기반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건설기계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통합 솔루션이다. 지난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한 바 있다. 발표 세션에서 남동우 책임매니저(디지털솔루션팀)는 AWS의 ‘IoT 코어’..

Story 2025.11.05

HD현대건설기계, 베트남 고위 관계자 및 교·강사 초청 연수

- CCT1과 체결한 ‘친환경·스마트 건설기계 인력 양성 사업 MOU’ 일환 - 고위 관계자와 인력 양성 정책 논의, 교·강사 대상 기술 교육 진행 HD현대건설기계가 최근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베트남 고위 관계자 및 교·강사 한국 초청 연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HD현대건설기계는 지난 7월 베트남의 직업훈련 전문대학 ‘The Central College of Transport No.1(CCT1)’과 ‘친환경·스마트 건설기계 인력 양성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해당 MOU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포용적 비즈니스 프로그램인 'IBS-ESG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지난 9월 21일부터 10월 1일까지는 CCT1 소속 교·강사 3명이 음성 글로벌교육센터에서 굴착..

Story 2025.10.31

HD현대건설기계, 광산용 80톤급 굴착기 1호기 인도

- 최첨단 초대형 라인에서 생산된 고내구성 장비로 석산·광산 시장 공략 - 국내 StageV 배기 규제 인증, AVM 탑재돼 작업 중 주변 안전 확보 HD현대건설기계가 지난 10월 24일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소재 석산에 80톤급 굴착기 HX800A 1호기를 인도했다. 인도식에는 변영환 이사(한국영업)를 비롯한 본사 임직원과, 고객사인 ㈜대륙의 박기대 대표 및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에 공급된 HX800A는 울산 스마트팩토리의 최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춘 초대형 라인에서 생산됐다. 국내 스테이지5(StageV) 배기 규제를 충족하는 친환경 모델로, 석산 및 광산 작업에 최적화된 고내구성 작업 장치와 버킷이 장착됐다. 특히 AVM(Around View Monitoring System)이 탑재돼 작업 중 주..

Story 2025.10.31

HD현대인프라코어, 3분기 실적 매출 1조 1,302억 원, 영업이익 809억 원

▶ 글로벌 시장의 수요 회복... 전년 대비 매출 24%·영업이익 291% 증가 ▶ 신흥시장 인프라·광산 수요 견조, 북미·유럽 선진시장도 시장 회복세 ▶ 엔진 부문, 발전기·방산 엔진 매출 확대,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유지 HD현대인프라코어가 30일(목)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매출 1조 1,302억 원, 영업이익 80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의 회복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291% 증가했다. 매출은 주요 지역 전반에서 수요가 회복되며 성장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은 고부가 제품 중심의 판매 증가, 가격 인상 및 판촉비 절감 등 수익성 중심의 전략이 효과를 거두며 큰 폭으로 개선됐다. 사업부별로는 건설기계 부문이 매출 8,543억 원을 기..

News 2025.10.30